반응형 커리어와 퍼스널브랜딩17 트렌드코리아 2025 김난도 교수 특강 및 책 내용 정리 안녕하세요.어제 과천시민회관에서 김난도 교수님의 특강이 있었습니다. '뱀처럼 예민한 감각이 절실한 정체의 시대, 무엇을 지키고 무엇을 바꿀 것인가?'에 대한 주제로 강의하신 내용을 바탕으로 2025년도에 어떤 것들을 더 준비하고 유념해야 하는지 정리해보았습니다.이번 특강은 2025년의 트렌드를 제시하는 중요한 자리였습니다. 김난도 교수님은 매년 다음 해의 트렌드를 발표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SNAKE SENSE'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여러 가지 트렌드가 소개되었습니다. 특히, 뱀은 그 예민한 감각으로 주변 환경을 빠르게 인식하는 동물로서, 이를 통해 현대인들에게 필요한 감각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였습니다. 과학적이고 사회적인 변화가 빠르게 이루어지는 시대에 우리가 어떤 감각을 더.. 2024. 11. 21. 세일즈와 카피라이팅 무언가를 파는 행위를 하는 세일즈는, 결국 누군가의 마음을 사는 것과 같다. 그럼 이것은 짧은 글로써 사람들의 생각에 씨앗을 뿌리는 카피라이터와 같은 것이지 않을까? 나의 DNA에 세겨진 일이 세일즈라면, 카피라이팅 또한 나의 업으로 볼 수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 2024. 11. 21. 경력으로 퍼스널브랜딩 완성하기 마흔 중반에 퇴사 후 퍼스널브랜딩을 만들어가는 과정은 많은 이들에게 큰 도전이 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 시기가 바로 나의 경력을 살려 새로운 길을 개척할 수 있는 기회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이제 제가 어떻게 퍼스널브랜딩을 구축해 나가는지를 공유하고자 합니다.1. 마흔 중반의 경력과 퍼스널브랜딩 필요성1.1. 경력의 의미와 중요성싫든 좋은 마흔 중반에 있는 우리들은 적어도 20년 가까운 시간동안 특정분야에서의 경력을 쌓고 일을 해왔습니다. 이는 175,200시간의 누적이고 10,512,000분과 같은 수치입니다. 우리의 역량이 온 몸 곳곳에 녹아들어 있을 것인데, 생각보다 이를 콘텐츠화 시키고 경쟁력 있게 가꾸려는 노력에 대해서는 다소 소극적인 모습을 볼 때마다 안타깝기도 합니다.1.2. 퍼스널브.. 2024. 11. 19. 마흔다섯에 퇴사 후 재취업하기 퇴직 후 재취업하기에 대한 심리적 요인과 그에 따른 전략에 대해 깊이 있는 포스트를 작성해 보겠습니다.퇴직이라는 것은 많은 사람들에게 새로운 시작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심리적 어려움을 동반하는 사건입니다. 특히 마흔다섯에 퇴직하게 되면 경제적 부담과 더불어 정체성 상실, 사회적 고립 등 여러 가지 심리적 요인이 맞물려 있습니다. 퇴직 후 심리적 변화많은 연구에서 퇴직 후 개인이 겪는 심리적 변화는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인지적 마비 입니다. 이는 직장을 다니던 시절의 일상적인 생활에서 벗어나며 느끼는 혼란을 의미합니다. 둘째, 불안/초조 한 상태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는 경제적 불안정성, 사회적 관계의 변화 등에서 비롯됩니다. 셋째, 분노 를 느낄 수 있습니다. 이는 자신이 퇴.. 2024. 11. 19. 왜 우리는 사람 때문에 퇴사를 하려하는가? 퇴사와 심리적 요인많은 사람들이 직장에서 퇴사를 고려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그 중에서도 심리적 요인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꿈꾸는 커리어를 위한 이직이면 다행이겠으나, 대게 조직에서의 갈등은 사람에서부터 출발합니다. 이유가 무엇일까요? 서로의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 것이 이유일 수도 있고, 상급자와 하급자의 계급서열에 의한 물리적/심리적 압박이 이유가 될 수도 있습니다.조직 내 갈등의 원인조직 내에서 발생하는 갈등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직장 내에서의 소통 부족, 상사와의 불화, 동료 간의 경쟁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갈등은 직원의 심리적 안정성을 해치고, 결국 퇴사 결정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이미지 출처에서 볼 수 있듯이, '독성 문화'가 퇴사 이유 중 가장 큰 비.. 2024. 11. 19.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